Part 5. 억압 속의 외침



“나는 목적을 갖고 작품을 만든다. 구제받을 길 없는 약자들, 

상담도 변호도 받을 수 없는 자들, 도움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이 시대의 사람들을 위해 한 가닥의 책임과 역할을 담당하려 한다.” 

- <전쟁>연작을 공개하는 자리에서 케테 콜비츠의 말 –




 


“목적을 가진 작품은 순수한 예술이 아니라고 

많은 사람이 말할 것이다. 그러나 나는 작업할 수 있는 한 

나의 예술로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의지를 꺾지 않을 것이다.”

- 1922년 여성화가 에르나 크뤼거에게 보낸 편지 -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케테 콜비츠가 ‘획기적인 날‘로 기억하는 1893년 2월 28일, 하웁트만의 연극 ‘직조공들’을 관람한다. 일찍이 노동자들에게 매료되어 결혼 후에도 베를린 빈민지역에 살면서 그들의 가난과 비극적 참상을 작품에 담았던 케테 콜비츠는 이 연극에서 큰 영감을 받아 <직조공 봉기>연작을 시작한다. 총 6점으로 이루어진 케테 콜비츠의 대표 연작이자 1899년 드레스덴 대베를린 예술전에서 금상을 수상한 <직조공 봉기>는 궁핍과 죽음을 바탕에 둔 하층 노동계급의 절박한 상황을 하나의 플롯을 따라가듯 허구적인 설정 안에서 점진적인 과정으로 보여준다. 이후 1840년대 침머만의 ‘대농민전쟁사 개설‘을 읽고 영향을 받은 케테 콜비츠는 또 하나의 연작 <농민 전쟁>을 내놓는다. 케테 콜비츠는 이렇게 노동자들의 처절한 삶을 담아 사회구조의 한계를 극복해 나가며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예술의 실천적 노력을 이어나갔다.